2007년 3월 신입생 정원 10개 학급 300명을 모집해 개교를 앞두고 있는 원묵고등학교(묵동 23번지 소재)가 개방형 자율학교 시범학교로 최종 선정됐다.
교육인적자원부는 10월 16일 개방형자율학교(자율학교) 시범학교로 중랑구 묵동의 원묵고등학교를 비롯한 충북청원고, 부산 부산남고, 전북 정읍고를 선정해 최종 발표했다.
이로서 우수명문고 유치라는 중랑구 주민의 숙원사업이 이뤄지게 됐다.
이번에 결정된 개방형자율학교는 전국에서 15개 학교가 신청해 치열한 경합을 벌인 가운데 서울에서 유일하게 원묵고등학교가 선정돼 유치의 기쁨을 배가 시키고 있다.
자율학교는 전인교육의 실현과 고교 교육의 혁신을 지향하는 학교로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시범 운영된다.
중랑구는 지역 내 명문고가 없고 주변 생활 여건이 열악해 경제활동 인구가 인근 지역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빚어왔다.
개방형자율학교는 학부모의 사교육비 문제 해결을 위해 우수한 교원과 좋은 시설을 갖추고 “저비용, 고품질”의 교육기회를 제공하는 제도로 지역 내 학생을 우선적으로 선발하고 교장을 공모해 자율권을 주고 학교운영권을 위탁하는 공교육의 획기적인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또한 우수한 교원의 우선적인 배치와 교장의 학생선발 및 학교운영권을 통해 새롭고 다양한 학습과정을 적용시켜 나갈 수 있게 되어 자립형사립고 등과 어깨를 나란히 견줄 수 있어 주목받고 있다.
앞으로 개방형자율학교는 우수한 학생을 양성시켜 지역발전에 기여하고 명실공히 명문고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해설] '개방형 자율학교' 는 어떤 학교인가.
전인교육의 실현과 고교 교육의 혁신을 지향하는 학교로 2007학년도부터 2010학년도까지 시범 운영되는 개방형 자율학교는 일반인들에게는 용어부터가 생소하다.
□학교 운영방식 = 개방형 자율학교는 교육부가 자립형사립고가 설립목적을 벗어나 입시위주로 변질된 점을 보완하기 위해 입시 위주 교육을 지양하고 전인교육을 실현한다는 취지로 추진해 왔다. 개방형 자율학교는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을 제외하고 교육과정 등을 자유롭게 운영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무(無)학년제 운영도 가능하다는 얘기다.
공모교장은 교원 인사권을 100% 행사할 수 있고 정부로부터 연간 1~2억원을 추가 지원받게 되며 예산도 항목별로 지급되지 않고 총액예산제가 도입돼 학교장이 자유롭게 운용할 수 있다.
원칙적으로 순환전보제의 적용을 받지 않아 희망하는 교원은 누구든지 지원할 수 있고 교장 자격증 소지자는 물론 일정기간 이상의 교육경력자 등도 공모를 통해 학교장이 될 수 있다.
교육부는 자율학교가 전인교육과 고교교육 혁신 등 도입 취지에서 벗어나 입시위주로 운영될 경우 운영주체를 바꾸거나 기존 학교로 전환하는 등 엄정한 제재조치를 내릴 방침이다.
□학생 선발방법 = 10월 중순부터 내년 2월 초순까지 학생을 모집하고 동시에 공모교장과 교원을 뽑는다.
원묵고는 별다른 전형 절차 없이 선지원 후추첨제로 신입생을 선발한다. 10개 학급에 모두 300명의 신입생을 받을 예정이다. 일단 신입생의 절반은 중랑구에 사는 학생을, 나머지 절반은 동부학군(중랑구ㆍ동대문구)에서 선발하기로 방침이 정해졌다. 경우에 따라서는 선발 학군 범위가 인접 지역인 노원구와 광진구 등으로 확대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시교육청이 최종적으로 교육인적자원부와 논의를 하고 있다.
□ '입시위주 명문고'냐 '자율학교'냐 = 자율학교는 입시위주로 전락한 자립형 사립고 등의 정책 실패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전인교육 실현과 고교 교육혁신을 지향하고 있다. 당초 '공영형 혁신학교'로 이름을 지었다가 정책의 취지를 충분히 전달하지 못한다는 지적에 따라 공모를 통해 '개방형 자율학교'로 바뀌었다. '개방형'의 의미는 자율학교의 틀을 유지하면서도 학교 운영주체를 대학, 민간단체, 공모교장 등에 개방한다는 것이 핵심이다.
그러나 당정협의를 거치면서 운영주체를 대학, 민간단체 등에게 개방하고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지원을 적극 유도하겠다는 당초 계획이 무산돼 졸속 정책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초중등교육법 개정이 늦어지면서 대학, 민간단체는 운영주체로 참여할 수 있는 길이 막혔다. 2010년까지 20개 혁신도시에 1개씩 모두 20개교를 운영한다는 계획도 일단 시범운영 4곳으로 대폭 후퇴했다.
교육부는 지난 7월 12일 시범학교 선정계획을 발표하면서 선정 조건중 하나로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지원을 명시했었으나 선정과정에서 삭제했다. 이처럼 계획이 바뀐 것은 당정협의 과정에서 여당으로부터 "지자체의 재정지원을 받고 운영주체를 대학, 민간단체 등에 개방할 경우 자립형 사립고처럼 또 다른 입시 명문고로 전락할 것"이라는 지적이 제기된데 따른 것이다.
2개 학교는 입시 위주 명문고를 염두에 두고 시범학교 신청서를 냈다가 교육부의 학교운영 방침을 확인한 뒤 신청을 자진 철회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