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랑갑 ‘일여다야’ 여권 유리…중랑을 ‘다여다야’ 박빙 예상
  • 20대 총선 기획

    중랑갑 ‘일여다야’ 여권 유리…중랑을 ‘다여다야’ 박빙 예상

           
    중랑갑 서영교-김진수 ‘첫대결’…민병록 가세 
            
    중랑을 박홍근-강동호 ‘재대결’…강원, 윤정화 변수

     

     오는 24일 20대 총선 후보 등록을 앞두고 중랑갑과 중랑을 선거구 대진표가 최종 확정됐다.
    중랑갑 선거구에서는 현역인 서영교 더불어민주당(더민주당) 의원이 재선을 노리는 가운데 김진수 새누리당 후보와 민병록 국민의당 후보가 도전에 나섰다. 야권이 쪼개지면서 일여다야(一與多野) 구도가 펼쳐진다.
    중랑을 선거구에서는 현역인 박홍근 더불어민주당(더민주당) 의원에 맞서 강동호 새누리당 후보가 재도전에 나섰고, 강원 국민의당 후보까지 가세했다. 여기에 새누리당 성향의 윤정화 후보가 무소속으로 나섰고, 청년층을 공략할 무소속 김민상 후보가 틈새 공략에 나서면서 기존 양당체제에서의 일여일야(一與一野) 구도가 일여다야로 굳어지는가 싶더니 다시 다여다야(多與多野) 구도로 바뀌었다.
    당초 야권은 국민의당 출현으로 분열이 가시화됨에 따라 서울 등 수도권지역에서 일여다야 구도가 불가피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나 최근에는 야권 통합과 연대를 모색했던 더민주당이 사실상 발을 뺌으로써 한 때 우호적이었던 정의당과도 선거연대를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했다.
    특히 더민주당은 공천과정에서 친노와 운동권을 중심으로 현역의원을 대거 탈락시킴으로써 탈당자가 속출했고, 이들이 국민의당 합류 또는 무소속 출마로 가닥을 잡으면서 야권 분열을 더욱 재촉하는 양상을 빚고 있다.
    새누리당은 친박과 비박간 공천 갈등이 빚어지면서 여당 분열을 자초하고 있다. 공천권을 거머쥔 친박에서 수도권과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대대적인 비박 숙청에 들어가면서 무소속 출마자들을 양산하고 있다. 새누리당은 중랑구 선거구 2곳 모두 경선을 통해 후보를 확정하면서 공천 배제로 인한 파장은 없었지만, 중랑을에서는 사실상 경선 불복으로 비쳐지는 상황이 발생했다.

    중랑갑에서는 여권의 분열이 가시화되지 않은 상황이지만, 중랑을에서는 여당을 기반으로 한 후보가 무소속 출마를 감행하면서 여권이 사실상 분열되는 결과를 초래함에 따라 선거결과를 섣불리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결국 중랑구 선거구 역시 수도권 여야 접전지역과 마찬가지로 여야간 출마자 구도가 당락에 큰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중랑갑은 야권에서 현역인 더민주당 서영교 의원이 단수공천자로 확정되면서 본선 채비에 들어갔다. 여기에 국민의당 민병록 후보도 단수공천을 사실상 확정함에 따라 다야 구도를 형성했다.
    여당인 새누리당은 최종 경선을 통해 김진수 후보를 확정했다. 새누리당은 5명이 예비후보로 나선 가운데 배승희 후보 등이 3인 경선을 치렀다. 김진수 후보와 김철기 후보의 득표율이 10%p를 넘지 않아 여론조사 방식의 결선을 치른 끝에 김 후보가 본선 티켓을 거머쥐었다.
    재선을 노리는 더민주당 서영교 의원에 맞서는 새누리당 김진수 후보는 이번이 첫 대결이다. 양자구도에 제3당인 국민의당 민병록 후보가 가세하면서 야권표 분산과 당락에 직접 영향을 줄 수 있느냐가 관건이다.
    김진수 후보로서는 최상의 조건에서 본선에 나서게 된 반면 서영교 의원은 야권표 분산을 막고 결집해야 재선을 달성할 수 있는 부담이 있다.

    중랑갑은 야권에서 현역인 더민주당 서영교 의원이 단수공천자로 확정되면서 본선 채비에 들어갔다. 여기에 국민의당 민병록 후보도 단수공천을 사실상 확정함에 따라 다야 구도를 형성했다.

    중랑을은 야권에서 더민주당 현역 박홍근 의원이 단일후보로 공천을 받았다. 또 국민의당은  3명이 출사표를 던졌으나 강원 후보를 단일후보로 확정했다. 야권의 경우 국민의당 후보 출전으로 표 분산이 이미 예견됐지만, 20대 무소속 김민상 후보까지 나서면서 야권에 우호적인 20~30대 표도 일부나마 빠져 나갈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여당인 새누리당은 최종 경선을 통해 강동호 후보가 확정됨에 따라 박 의원과 재대결을 펼치게 됐다. 새누리당에서는 5명이 예비후보로 나선 가운데 1차 경선을 통해 강동호 후보와 윤상일 후보 등 2인으로 압축된 최종 결선을 치렀다. 지난 19대에서도 최종 경선에 나섰던 강 후보와 윤 후보가 재대결을 펼쳤지만, 결과는 강동호 후보의 승리로 끝났다.
    윤상일 후보는 이번 총선에 출마할 수 없는 상황이 되었으나, 아들인 윤정화씨를 무소속으로 출마시키면서 사실상 여권의 분열을 초래했다. 윤정화 후보가 아버지의 지지기반을 얼마큼 표로 흡수하고 본인의 표를 창출해 낼지가 관건이다. 윤 후보의 득표결과가 여야 후보 당락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면, 강 후보로서는 뼈아픈 대목이 아닐 수 없다.

    중랑을에서 현재 예비후보들이 본선까지 나서게 될 경우 여권 2명, 야권 3명의 다자간구도를 형성하게 된다. 야권의 분열로 새누리당이 유리할 것이라는 국면에서 다시 한치 앞을 내다보기 어려운 선거판도로 되돌아간 것이다.
    지난 19대 총선에서 중랑을은 박홍근 후보와 강동호 후보가 850여 표차로 당락이 갈렸던 곳이다. 현재의 다여다야 구도가 계속 이어진다면 오는 4월 13일 20대 총선에서도 박빙승부가 재현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 글쓴날 : [16-03-27 16:34]
    • 편집국 기자[news@jungnangnews.co.kr]
    • 다른기사보기 편집국 기자의 다른기사보기